Camera 雜說

크롭바디와 24-70L, 24-105L렌즈

Monochrome Pictures 2013. 8. 26. 12:00

사진 사이트에 엄청 자주 올라오는 질문 중 하나...

"크롭바디에 24-70L이나 24-105L 렌즈 써도 되나요?"

 

나는 이렇게 대답한다.

"쓰고 싶으면 쓰면되지 왜 그걸 물어보나요?"

 

이는 질문자가 본인의 사진에 대해서 한 번도 생각을 안해봤다는 걸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증거다.

그런 걸 물어본다는 건 질문자가 크롭 환산 화각에 대해서는 알고 있는 상태이고...

다만 화각이 어떨지 모르겠다는 이야기인데...(특히 광각 쪽...)

크롭에 24mm가 궁금하면 번들렌즈 24mm놓고 찍어보면 될 걸 왜 물어볼까?

그리고 크롭에서 환산한 화각을 알고 있다면...

자신이 자주 쓰는 화각을 생각하면 크롭바디에 FF대응 렌즈 달았을 때 활용도 및 만족도는 바로 답이 나올텐데...

왜 그런 걸 물어볼까?

참 이해가 안된다.

 

크롭바디에 FF 대응 표준줌을 쓰는 건...

어떻게 보면 돈 낭비이기도 한데...(관련 포스트 : 클릭)

가까운 시일내에 FF 바디로 기변이 확실하다면 써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그리고 본인이 자주쓰는 화각이 표준에서 준망원대라면 FF 대응렌즈를 크롭바디에 물리면 정말 편할 수가 있다.

필자가 망원비율이 70% 이상이라 크롭바디에 24-105렌즈를 물려서 썼는데 굉장히 편했다.

표준줌과 망원을 바꿔다는 빈도가 확 줄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광각 24mm도 환산하면 38mm 정도 되는데...

과거 2000년대 초반에 나온 디카들의 상당수가 광각이 36~38mm였다.

그걸 생각하면 광각도 그렇게 부족하지 않았다.

 

이런 경우가 아니라...

본인이 크롭표준줌렌즈에서 17~18mm에 놓고 찍는 경우가 많을 때... 즉, 광각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은데도 불구하고...

24-70이나 24-105를 쓰겠다???

참 답이 없는 사람이다.

그러면 나오는 질문...

"그럼 FF대응 17-40L이나 16-35L 쓰면 되지 않나요?"

이런 질문을 하는 당신은 지금 사진이 목적이 아니라 빨간띠 L렌즈를 쓰고 싶을 뿐이다.

사진 사이트에서도 크롭바디에 FF 대응 광각 렌즈는 권하지 않는 분들이 대부분이다.

광각렌즈의 특성도 못살리고 그냥 표준줌처럼 쓰면 그건 완전 돈낭비이기 때문...

더 좋은 화각에 더 좋은 조리개값에 손떨림 방지까지 들어가있는 크롭바디 표준줌이 훨씬 가격도 저렴한데...

굳이 FF대응 광각렌즈를 쓰는 건 좀 아닌 듯 하다.

물론 FF 바디 기변 예정이면 또 이야기가 다르겠지...

그리고 필요에 의해서 쓰시는 프로페셔널 및 하이 아마추어에게도 이 이야기는 해당되지 않는다.

본인 사진에 대해서 고민도 안해본 어정쩡한 아마추어들에게 해당되는 이야기다.

 

크롭바디에 24-70L이나 24-105L을 꼭 써야하고 광각 촬영 빈도가 높다면...

광각을 생각해서 번들렌즈 정도는 함께 구비하는 게 좋은 것 같다.

좀더 욕심을 부리면 크롭전용 광각렌즈(예 : 캐논 10-22, 탐론 10-24, 시그마 10-20)를 구비하는 게 좋을 듯...

그런데 또 특이한게...

죽어도 번들렌즈는 쓰기 싫다는 사람이 있다.

SLR카메라를 쓰는 이유가 다양한 렌즈를 쓸 수 있는 장점 때문인데...

24-70이나 24-105 정도 구매할 경제적 능력이 되는데도...

중고로 기껏 5만원하는 번들렌즈를 왜 안 쓰려고 할까?

이건 위에서 말했듯이 그냥 L렌즈가 쓰고 싶을 뿐인 것이다.

그럼 이 글 처음에 언급했던 질문을 아래처럼 하는 게 맞다.

"나는 L렌즈가 쓰고 싶어요... 자주 찍는 화각도 없어요... 그냥 L렌즈면 되요... 멋있는 것이면 되요... 어느 게 좋을까요?"

'Camera 雜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웃포커스 간략하게 정리  (0) 2014.03.16
캐논 EF-S 18-55mm F3.5-5.6 IS STM 렌즈  (0) 2013.10.08
시그마의 DC와 DG  (0) 2013.06.07
시그마 70-200mm F2.8 렌즈의 종류  (0) 2013.06.06
광각 컨버터  (0) 2013.05.10